양식별 영문이력서
입력시간 : 2010-05-11 오후 3:14:43
이력서는 일종의 개인적인 광고로써 읽는 이의 관심을 유발하여 면접 기회를 쟁취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이력서는 효과적인 광고처럼 매력적이고도 읽기 쉽고 간결하게 써야 한다. 가장 선호되는 연대기적 이력서 양식으로 이력서를 써보자.
이력서에 넣는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열한다.
· 정보 식별
· 개요나 이력서 요약(선택 사항)
· 커리어 또는 직무 목표(선택 사항)
· 고용 내역
· 학력
· 명예 또는 표창장
· 출판물
· 직업적인 협회의 회원(선택 사항)
· 군 경력
취미, 어학 능력, 출장과 재발령에 대한 의지 등은 지원하는 직책과 연관이 있을 때만 쓰도록 한다. 그리고 이런 정보는 되도록 이력서 끝부분에 기재한다. 당신의 현재 또는 가장 최근의 직무 설명은 첫째 페이지에 와야 한다. 구직자의 직무 목표와 또는 직무 요약이 너무 길다면, 둘 다 줄이거나 그 중 하나를 생략한다.
이력서의 외관
구인 광고를 낸 후 200장이 넘는 이력서를 받은 고용주를 떠올려 보자. 바쁜 업무 속에서 그의 책상 위에는 이력서 외에도 검토해야 할 서류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을 것이다. 그러한 와중에 이력서를 선별해 자세히 읽어봐야 한다면 당연히 훑어보는 일부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한 페이지짜리 이력서를 권하는 이유이다.
필자는 ‘훈민정음’ 등 한글 포맷의 이력서를 자주 받는데 아주 귀찮고 번거롭기 그지없다. 물론 국내 기업들의 경우에는 문제가 없겠지만 외국 기업에 이력서를 보내면서 한글 포맷 이력서를 보낸다는 것은 지원자의 기본부터 의심하게 만든다.
구직자들에게 MS Word 프로그램은 훨씬 더 진보된 이력서 서식을 제공한다. 파일 복사 기능을 이용하면 지원하려는 각 직책을 위한 수십 개의 이력서를 즉석에서 만들어낼 수 있다. 간단한 편집만으로도 회사별 맞춤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만들어낼 수 있다. 목표가 뚜렷하고 지원 회사의 특정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력서만이 더 많은 면접의 기회를 가져올 수 있다.
팩스 기능이 딸려 있는 컴퓨터나 독립형 팩스는 구직 활동을 효율적으로 도와준다. 이력서는 반드시 커버레터를 동봉하여 팩스로 보내야 한다. 팩스를 보낸 후 원본을 우편으로 보낼 때는 반드시 이력서와 커버레터를 동봉한다. 이 원본을 보내는 일을 통해 주요 채용 담당자의 연락처를 하나 더 얻어내는 이득이 있다. 따라서 이는 일종의 ‘이중 광고’가 되어 당신의 이름을 더 많이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많은 외국 기업에서는 송부된 이력서를 스캔하고 있다. 스캐너가 읽기 쉬운 이력서를 작성하려면 다음 사항에 유의하도록 한다.
· 흰색, 크림색, 회색 등의 색상에 얼룩이 없는 깨끗한 용지를 사용한다.
· 이름은 제일 위에 각 페이지마다 쓴다.
· 전화번호는 1행에 1개씩 쓴다.
· 팩스나 카피가 아닌 원본을 보낸다.
· 가능한 한 레이저 프린터로 인쇄한다.
· 이력서는 접지 말고 큰 봉투에 넣어 보낸다.
· 행간은 문자가 달라붙지 않도록 충분히 잡는다.
· 횡선, 종선, 그래픽을 넣거나 바닥에 색을 깔지 않는다.
· 가운데 점이나 괄호를 사용하는 경우 앞뒤에 공간을 둔다.
· 밑줄, 이탤릭체는 사용하지 않는다.
· 폰트는 Helvetica/Arial, Times, Universe, New Century 등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며 크기는 10~12point로 한다.
· 변형된 포맷은 사용하지 않는다.
정보 식별과 개요의 작성
이력서를 쓸 때에는 정보를 분간하는 제재를 늘 왼쪽에 붙이거나 상단의 중앙에 잘 보이는 자리에 두고 시작한다. 이때 보기 편하게 적당한 여백을 두어야 한다. 당신의 이름, 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지역 코드 전부를 적는다. 사무실로 연락이 가능하다면 그 전화번호도 기입한다.
이력서 요약이라고도 불리는 개요는 선택 사항이지만 적어도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지원자들이 이용하도록 한다. 비록 선택 사양이긴 하지만 주요 회사의 인사 담당자들이 가장 먼저 훑어보는 정보가 이 개요에 들어 있다. 개요가 그들의 관심을 끈다면 이력서 전체를 읽어보게 될 것이다. 개요의 미학은 직능별 이력서에 힘을 주는 데 있다. 당신이 여러 직책에서 수년에 걸쳐 얻은 경험들 중 비슷한 것은 서로 합쳐서 요약할 수 있다.
한편 당신의 주요한 업적 중 하나를 초창기 직장에서 이루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역 연대기적 양식의 이력서를 사용한다면 채용 담당자가 이러한 중요한 정보를 미처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 이 정보가 페이지 가장 밑 부분이나 두 번째 페이지에 나타나게 되므로 놓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다. 이에 반해 개요는 시작부터 그러한 사실을 강조할 수 있게 해준다. 개요를 통해 당신이 강조하고 싶거나 중요한 커리어 업적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언제 했던 것이든 모두 기입한다.
개요에는 강렬한 문장을 하나 이상(많으면 서너 개) 넣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잠재적인 고용주에게 자신의 이력을 가장 잘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요 단락의 몇 가지 샘플 --------------------------
· Seventeen years of sales growth achievement in the medical field, having established strong rapport with professional practitioners(개업의들과 견고한 관계를 다지면서 의학 산업에서 이뤄낸 17년의 영업 성장)
· Over 5 years of experience in HTML and Java for Web site design. Programming both for internal requirements and external clients. Thoroughly experienced in graphic design, content, layout, and implementation(HTML과 웹사이트 디자인을 위한 Java에서 5년 이상의 참여. 내부의 요구와 외부 클라이언트 모두를 위한 프로그래밍. 그래픽 디자인, 콘텐트, 설계, 그리고 도입까지를 두루 경험)
· 15 years of experience in Nuclear Power Plant Engineering, including start-up, modifications, construction, installation, and testing of ASME Code Class I, Ⅱ, and Ⅲ Systems(Nuclear Power Plant Engineering에서 창업, 변경, 건설, 설치, ASME code Class I, Ⅱ, and Ⅲ System의 테스트를 포함한 15년간의 경험)
---------------------------------------------------------
원하는 일자리를 얻기 위해서라면 당신의 가치를 높여줄 모든 기술, 책임, 업무, 업적을 써두길 권한다. 그동안 당신이 쌓아온 커리어를 대여섯 개 문장으로 요약하고 확신에 찬 어조로 표현한다. 초안을 쓴 이후에도 보다 효과적인 단어로 바꾸거나 불필요한 부사나 반복되는 단어들을 삭제하는 등 완벽한 이력서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
개요 또는 요약 이력서는 탄탄한 업무 이력과 특정한 자질을 우선시하는 고용주에게 어필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요약 이력서는 고용주들의 각기 다른 요구에 따라 달리 써주어야 한다.
한편, 이력서에 반드시 넣게 되는 경력과 학력 사항은 지원 회사의 특성에 따라 정보의 배열을 달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대체로 연대기 순으로 나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직능별 이력서 양식도 인기를 끌고 있으며 연대기 순 이력서와 직능별 이력서를 결합한 합성 이력서가 새로이 떠오르고 있다. 합성 이력서에서는 첫 단락에서 당신의 경력 전체를 요약하고 현재의 커리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강조한다. 여기서 당신이 지원하는 직책과의 연관성을 즉시 입증한다면 읽는 이의 주목을 단숨에 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첫 단락은 직능별 양식을 따르고, 다음에 이어질 단락에서는 연대기 양식에 따라 세부적인 경력을 서술해주는 것이 좋다.
연대기적(역사적) 이력서 The Chronological (Historical) Resume
연대기적 이력서란 한 마디로 어떤 사실이나 사건들이 일어난 순서에 따라 기술한 이력서를 말한다. 사실이나 사건들이 일어난 순서의 역순으로 이력서를 기술할 수도 있는데, 이를 흔히 역 연대기적 이력서라고 한다. 하지만 보통은 역 연대기적 이력서를 그냥 연대기적 이력서라고도 부르며, 여기서도 최근의 사실들을 가장 먼저 언급하고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다른 사실들을 뒤에 나열하는 역 연대기적 이력서를 기본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역 연대기적 이력서의 특징은 이전에 담당했던 업무 내용을 강조하고, 직무 내용에 대해 자세히 기술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연대기적 이력서는 빨리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리기 위한 것이므로 간략해야 한다. 두 페이지를 넘어서는 안 되며, 이 타입의 이력서는 여러분에 대한 명확하고 간결한 그림을 보여줘야 한다.
연속된 사실들은 반드시 현재 또는 가장 최근의 경험으로부터 시작해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역 연대기별로 표시해야 하며, 어떤 이력서든 지원자의 이름, 주소, 그리고 전화번호로 시작한다.
어떤 산업 분야에서는 전통적으로 경력에 앞서 학력을 먼저 표시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명확한 규칙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여러분이 견실한 경험적 배경은 갖추고 있지만 아직 학위를 마치지 않았다면, 학력을 이력서 맨 마지막에 두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대게 가장 높은 학위를 처음에 보여주고 다른 학위들을 역순으로 따르게 하는 것이 표준이라 할 수 있다. 학력을 표시할 때에는 대학, 도시, 주, 취득 학위의 이름과 학교에 다닌 날짜를 꼭 적어야 한다.
커리어 목표나 이력서 개요를 이용하기로 선택했다면, 그것을 첫째 페이지 맨 위쪽에 두며, 간단하고 실질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업무 경력은 직무 타이틀, 고용주의 이름, 주소(도시와 주, 번지, 거리 이름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업무와 직책의 개요를 서술하면서 각 업무를 역 연대기 순으로 나열한다. 이 개요는 간단하지만 명확해야 하며, 항상 날짜 표기를 잊지 말아야 한다. 날짜는 각 해당 직무 설명의 앞줄이나 다른 정보들의 왼쪽에 세로 열로 넣되, 문단의 일부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용주는 해당 날짜를 한 눈에 알아보기를 원하므로 날짜를 세로 열에 넣는 것을 더 선호한다.
이런 (역)연대기적 형식의 이력서는 다음과 같은 구직자에게 적합하다.
· 과거의 경력이 현재의 희망 직종과 일치하는 구직자
· 안정된 경력에 전직이 적은 구직자
· 일관된 커리어가 상승하고 있는 구직자
· 휴직 기간이 없는 구직자
반면에 다음과 같은 구직자에게는 (역)연대기적 형식의 이력서가 부적절하다.
· 커리어를 전향하려는 구직자
· 경력 상 공백의 기간이 긴 구직자
· 전직이 많은 구직자
· 커리어가 하강한 구직자
직능별 이력서 The Functional Resume
직능별 이력서는 직무와 관련된 지원자의 자질과 능력을 강조하기 위한 방식이다. 업무에 필요한 특별한 재능을 강조하기 위해 연대기적 서술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양식의 이력서에서는 고용주의 이름과 날짜는 생략하는데, 하나 이상의 직책에서 전문적 지식을 습득했기 때문이다.
직능별 이력서는 간결하고 짜임새가 있어야 하며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업 목표와 이력서 개요로 시작한다. 이력서의 본문은 각각의 전문 지식과 참여한 분야를 언급하는 넷 또는 다섯 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 단락들은 중요도 순으로 나열해야 한다. 지원하고자 하는 회사에 가장 알맞은 직능을 중점적으로 기술한다. 영업, 마케팅, 법무 비서, 연구 조사, 판매 관리 등 타이틀을 달고 각 단락별로 업적을 요약하여 써둔다.
지난 몇 년간 이러한 직능별 이력서가 인기를 끌어왔지만 아직은 소수의 고용주들만이 이런 양식을 인정한다. 고용주들은 완전히 직능을 중심으로 한 이력서는 뭔가 미심쩍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구직자가 4년간 7개의 회사를 옮겨 다녔다던가 장기간의 실업 상태에 있었다는 사실 등 바람직하지 못한 기록들을 감추고자 할 때 직능별 이력서를 사용한다고 생각한다. 이렇듯 구직자가 어떤 능력을 과대포장하거나 좋지 않은 과거를 숨기기 위해 직능별 이력서 양식을 쓴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직능별 이력서는 경력이 부족하거나 전직을 시도하는 구직자에게 적절하다. 이 경우에 당신의 역량에 맞는 직무를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이력서에 날짜나 고용주의 이름을 넣지 않으면 효과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정보와 함께 직무명과 관련 설명을 간결하게 역 연대기 순으로 명시한다. 이 내역은 직능별 설명 뒤에 따라와야 한다.
합성 이력서 The Combination Resume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연대기적 이력서와 직능별 이력서의 특징을 모두 살린 이 양식이 현재 북미에서는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이력서에서는 가장 중요한 프로필이나 업적, 기능 요약이 먼저 언급된다. 고용주는 지원자가 무엇을 할 수 있고 회사에 어떻게 공헌할지를 가장 알고 싶어 한다.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남보다 얼마나 능숙하게 어필하느냐에 따라 취업 여부가 결정된다. 합성 이력서는 직무보다 업적에 초점을 두는 양식으로, 연대기적 이력서처럼 틀에 박혀 있지도 직능별 이력서처럼 인위적이지도 않다는 장점을 지닌다.
유럽 양식의 이력서 The European Style Resume
영국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나 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양식이다. 영국, 홍콩,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 있으며 캐나다는 영연방 교육 제도의 영향을 많이 받긴 했지만 일반적으로 미국식 이력서를 쓰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국적 기업들이 주도하는 글로벌 경제 시대에 발맞추어 대부분 미국식 이력서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 이력서를 ‘Curriculum Vitae(CV)’라고 칭한다. 반면에 미국 쪽에서 CV는 의사, 연구원, 대학 교수 등이 자신의 연구 내용을 소개하는 몇 페이지에 걸친 긴 이력서를 말한다.
이 CV의 특징은 자신의 기능과 경력을 정리한 프로필이나 기술 요약을 맨 위에 적고 그 밑에서부터 주요 업적을 정리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CV에는 미국식 이력서와 다르게 생년월일, 결혼 여부, 국적, 취미, 운전면허 등의 개인 신상정보를 기재한다. 일부 아시아계 회사나 국내의 외국계 기업에서는 우리나라처럼 나이, 성별, 사진 첨부 등을 요구하는 기업도 있으므로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의 문화에 맞추어 이력서 양식을 몇 가지 만들어놓고 사용해야 한다.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한 사전 조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전자 이력서 The Electronic Resume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전자 이력서는 간단히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필자는 구직자들 모두 하드카피와 그에 해당되는 전자 파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자 이력서는 볼드체, 이탤릭체 등 특정 폰트나 12포인트를 넘는 글자를 활용한 멋들어진 형태의 컴퓨터 문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ASCII(정보 통신용 미국 표준 코드)판을 사용한 이력서를 뜻한다. 비록 예쁜 형태는 아니지만 거의 모든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간단히 ‘Text only’로 저장하여 전자 이력서를 만들 수 있다. 전자 이력서는 고용주들이 전자 스캐너를 이용하여 유망한 직원을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하에서는 전자 이력서를 만들 때 도움이 될 몇 가지 비결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명사형을 사용하라
전통적인 이력서를 작성할 때 주로 설명적인 문장을 쓰는 것과 달리, 전자 이력서에서는 명사를 많이 쓰도록 한다. 컴퓨터 직종의 인재를 찾는 이들은 생물-공학, 엔지니어, 프로그래머, 관리자 같은 핵심어를 통해 검색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핵심어를 사용하라(데이터베이스 대책)
일자리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를 사용한다. 당신을 찾기 위해 누군가가 검색창에 입력할 상위 10개의 핵심어를 생각해내고, 그 단어들을 모두 당신의 이력서에 넣는다. 예를 들어 당신이 식음료 매니저로 일하고 싶다면 이력서에 넣을 핵심어는 레스토랑, 바, 음식 서비스, 호텔, 연회, 정찬, 메뉴, 요리, 푸드 매니저, 음료 매니저 등이 될 것이다.
간결하게 써라
장식적인 서체를 피하고 밑줄을 남발하지 말며 사실만을 기록한다.
제목에 채용 직종을 넣어라
제목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당신이 원하는 직종을 표기한다.
· Resume of Chief Operating Officer
· Resume-Senior-Level Information Systems Group Manager
이름과 연락처를 먼저 기록하라
이력서의 목적은 우선 면접으로 이어지는 것이므로 이름과 연락처를 잘 보이게 적어야 한다.
전문 용어를 사용하라
머리글에 해당 산업의 전문 용어를 쓴다.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속에서 이력서를 찾아 저장하는 고용주들은 이상적인 후보자들을 전문 용어를 통해 식별한다.
여백을 충분히 주라
눈이 피로하지 않게 편안히 읽을 수 있도록 적당한 여백을 두어야 한다.
되도록 한 페이지 분량으로 작성하라
학교를 갓 졸업한 지원자일수록 한 페이지 이력서가 효과적이다. 두 페이지 이력서는 실무진과 2, 3년 이상의 경력자들에게 적당하다.
커버 레터는 메일의 본체에 넣어라
이력서를 보낼 때 커버 레터를 첨부 파일로 보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우므로 메일의 본체에 넣는 것이 좋다.
압축 파일을 사용하지 말라
ZIP이나 LHN 등의 압축 파일은 일일이 풀어서 읽어야 하기 때문에 몹시 번거롭다. 또한 채용 담당자의 컴퓨터가 자동으로 압축 파일을 풀 수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바이러스 예방 조치를 해두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력서는 절대 보내면 안 된다. 필자의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력서는 읽지 않고 바로 휴지통에 버린다. 예방 프로그램을 계속 업데이트해서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철칙이다.
여러 번 검토하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맞춤법이 맞는지 확인하고 문장 또한 어색하지 않은지 다른 사람과 같이 검토하도록 한다.
신중하게 보내라
당신이 현재 어딘가에 고용된 상태라면 이력서를 보낼 때 특히 신중해야 한다. 온라인 구인구직 사이트에 이력서를 등록한다면 당신의 현재 고용주가 읽어볼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이력서를 많이 뿌리면 뿌릴수록 당신의 상관이 보게 될 확률은 높아진다. 어떤 지원자는 지금 만족스러운 직장에서 일하고 있음에도 2년 전에 올린 이력서가 사이버 공간에 떠돌아다니는 바람에 여전히 여러 회사의 연락을 받기도 한다.
이런 경우를 피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익명을 보장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만 이력서를 보내는 것이다. 그러면 당신의 이력서는 이름과 주소를 제외하고 배포되어 구인 회사는 이메일 주소나 등록 번호를 통해서만 당신에게 연락을 할 수 있다.
텍스트 포맷 작성 시의 주의사항 -----------------------
· 서식은 모두 왼쪽을 들여 쓴다.
· 1행은 65자 이내로 한다.
· 페이지 숫자(1~2)에 너무 신경 쓰지 않도록 한다.
· 숫자 알파벳은 띄어 쓰지 않는다. 또 \ 기호나 원 기호 등은 영어 환경에서는 쓸 수 없다.
· 이탤릭체, 고딕체, 밑줄, 탭은 쓰지 않는다.
· 기호를 사용할 경우 *나 +, -를 사용하고, 섹션을 나누거나 선을 긋고 싶을 땐 하이픈(-)이나 *****, =====을 사용하며, 강조하고 싶은 문자는 **나 ++, ==, ##로 에워싸도록 한다.
· 특수 기호는 쓰지 않는다.
· 발송 전 반드시 내용과 포맷을 확인한다.
-----------------------------------------------
전자 이력서 샘플
Jung-suk Kim
252 Junghwa san dong Wansan gu,
Jeonjoo City Jeollabuk-do Korea 342-345
H (063) 555-2323
Jungsuk.kim@mail.com
-----------------------------------------------------------------
Summary of Qualifications
-----------------------------------------------------------------
*Public Speaking/Presentation Skills
*Technical Writing
*In-Depth Technical Knowledge of Data Networking, including Frame Relay, Managed Network Services, TCP/IP (Dial and Dedicated), Security, ATM, Network Design and Implementation, Router Configuration and Emerging Technologies
----------------------------------------------------------------
Professional History
----------------------------------------------------------------
Sprint Corporation, Greensboro, NC
September 2006 to Present
Sprint ION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National Accounts overlay sales manager for Southeast Region. Responsible for leading Sprint sales in the southeast national accounts region.
Sprint Corporation, Greensboro, NC
March 2005 to Present
Area Consulting Engineer
Area Support for Eastern United States. Reported directly to Director of Application Engineering. Drove product development issues and disseminated information to field presales support groups. Delivered presentations to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at all levels. Worked on Sprint ION product and process development. Responsible for leading Regional ION Support Teams in the sales cycle for Sprint ION opportunities, including account planning, network design, customer presentation, and contract negotiation. Contributed i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and pricing strategy for Sprint ION.
Sprint Corporation, Greensboro, NC
2003 to 2005
Regional Consulting Engineer
Senior engineering position provided expert-level consulting, design and sales support for data networking and emerging technology opportunities. Responsible for ensuring success of all strategic sales opportunities involving data. Heavily involved in qualification, positioning, contract negotiation, and closing throughout the sales cycle. Worked directly with sales management team during account planning and strategic opportunity review. RCE team leader: worked closely with management on key initiatives, including product development and rollout. Supervised Network Engineers in North Carolina. Responsibilities also included mentoring the sales support field engineers ;developed technical training curriculum and instructed specific courses such as IP Services, Security Services, and Frame Relay.
Sprint Corporation, Greensboro, NC
2000 to 2003
Network Engineer
Responsibilities included presales engineering of data opportunities.
Completed verbal and written responses to Request for Proposals on all levels, including executive briefings, technical overview, solution presentation, and detailed engineering briefings. Performed cost analysis on different network designs in order to provide complete and detailed responses to proposals.
Prepared order packages and tracked orders through provisioning process to implementation. Worked with customer to ensure satisfac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post-sell.” ongoing life-cycle support of data accounts for growth, redesign, and change management.
Sprint Corporation, Greensboro, NC
1999 to 2000
Test and Acceptance Engineer
Responsibilities included the supervision of all activity on Sprint’s northeast U.S. fiber network related to the actual splicing and testing of the backbone cable. Coordinated work activity with Sprint internal groups, construction contractors, and Sprint field technicians on an as needed basis to complete backbone cable maintenance and repair. Developed career patching and assisted with merit reviews for Sprint field technicians. Developed annual budgets for backbone cable maintenance and repair.
----------------------------------------------------------------
Education
-----------------------------------------------------------------
Hanyang University in Seoul, 1999
1206ho Gaepo Hyundai 4th APT #614,
Ilwon-dong, Kangnam-gu,
Seoul 135-232, Korea
Phone : (02)3411-9030
OBJECTIVE : Job in the Sales Department leading to managerial position
EDUCATION
1999-2001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Graduated in February 2001 with a B.S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1992-1999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Yong-In
Graduated in August 1999 with a B.S degree in Italian Language
1989-1992 Chung-Dong High School, Seoul
Graduated in February 1992

띄어쓰기 하나하나 다 중요합니다. 대문자 소문자 구별 잘하시구요. 간격도 잘 맞추세요. Education 부분엔 고등과정까지만 적으시면 됩니다.
EDUCATION
SIGNIFICANT COURSES
WORK/VOLUNTEER/EXPERIENCE
ACTIVITIES
SKILLS
EDUCATION: Bachelors, English Literature, Dong-A University, Busan 2005
Diploma, DaeMyeong Girl's High School, Busan 2001

http://blog.daum.net/ehxogml/381674
영문이력서 작성법
이력서는 겉보기에도 깔끔하고 아름다워야 하지만 한정된 지면에 지원자가 어떻게 상대 기업에 공헌할 수 있는가를 표현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요즘처럼 지원자들의 경쟁률이 수백 대 일에 이르는 경우에는 기업의 인사 담당자는 이력서 한 통에 대해 10초 내지 20초 밖에 시간을 할애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손으로 쓴 것, 커버 레터가 없는 것, 철자가 틀리는 것, 외관이 지저분한 것 등은 읽을 리가 없겠지요. 또 장황하게 너무 길면 하루에도 몇 백 통이고 읽어야 하는 인사 담당자는 짜증이 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지원자들에게는 역효과입니다. 따라서 이력서를 쓸 때는 간결하게 A4 사이즈의 종이 1페이지에 정리합니다. 경력이나 자격이 많아도 2페이지까지가 한도입니다.
과거의 직장에서 받은 보수나 지원하는 회사에서 자신이 받기를 원하는 보수를 기록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것은 면접이 끝나고 채용이 결정 된 후에 연봉 협상이 시작되면 그때 밝혀도 늦지 않습니다.
이 문제는 면접이 완전히 끝날 때까지 미루어 놓아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질문을 받은 경우에만 답을 해도 됩니다. 그러나 질문을 받은 경우에는 확실히 입장을 밝히도록 합니다. 교육이나 군대 문제로 회사를 떠나야 했다면 관련 정보나 경력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습니다.
결혼 여부, 키와 몸무게, 직무와 무관한 취미나 연령, 부양가족, 종교, 정당 가입내용, 장애, 급여 수준 등과 관련된 내용은 생략합니다. 개인적인 정보는 이력서에 미리 기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이는 영문 이력서를 사용하는 사회나 국가의 관습을 모르고 우리나라 기업 문화에 기인하는 오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인(References)이란 직원을 채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채용 대상자에 대한 경력과 학력의 사실 내용을 확인하고 전 직장이나 학교에서의 활동상황, 특성이나 태도 등에 관하여 알고자 할 때 도움을 줄 만한 사람을 말합니다. 채용 담당자는 입사 지원자에 대한 참고 사항을 확인하거나 조회하고자 할 경우, 입사 지원자의 양해를 얻거나 채용 대상자가 지명하는 사람에게 확인을 거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처음부터 이력을 확인해 줄 참고인(references)들의 이름을 쓸 필요는 없습니다. 기업 측에서 굳이 확인을 하고자 요청할 경우가 있으면 그 때 알려주도록 합니다. 그러므로 이를 미리 알려 주고 싶지 않다면 “필요할 경우 참고인을 알려 줄 수 있음(References available upon request)”라고 이력서 맨 밑에 적으면 됩니다.
외국과 체인이 되어있는 호텔이나 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들은 영문 이력서를 요청하며 면접도 영어로 치르게 됩니다. 이런 직장을 원하는 사람들은 미리 미리 영문 이력서의 작성법을 알아야 하고 면접에도 대비하여야 해야 합니다. 영문 이력서는 비록 사진을 첨부하지 않더라도 지원자의 얼굴과도 같은 것이므로 고용주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게 작성해야 합니다. 이력서는 지원자의 교육적 배경과 경험에 대한 간단한 요약으로, 지원자가 어떤 직장의 어떤 자리에 적임자인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그것은 지원자가 면접의 기회를 얻어내는 데 중요하므로 고용주가 지원자를 면접할 수 있게 자신의 이미지를 종이 위에 잘 투사해야 합니다. 영문 이력서를 작성할 때 참고할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sonal History(Resume) of Kil Dong Hong 식으로 누구의 이력서임을 첫줄 상단에 표시하는 것이 흔히 사용되는 서식입니다. 그 밑에 현주소나 연락처, 전화번호, 기타 인적 사항을 적고, 나이(Date of Birth)는 월, 일, 년도 순으로 기재합니다. 본적과 현주소를 기재할 때는 번지, 통/반, 구(면), 시(도)순으로 쓰고 마지막에 우편번호를 적습니다. 가족 관계는 The second son of Dong-Suk Hong식으로 게재합니다.
이 부분은 응시자가 가지고 있는 직업 목표를 밝히는 중요한 부분으로 지원자가 원하는 분야 혹은 부서를 열거 식으로 나열해도 좋습니다. Account, Computer Programmer, Electrical Technician, Hotel Manager Stewardess 등으로 표현하고, 지원자가 찾고 있는 position을 명시하기 위해서는 지원하는 기업의 organizational chart(부서기구)를 알아보고 희망하는 해당 부서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회사 마다 같은 일을 하는 부서라도 부서명이 다를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신청하는 기업의 부서 또는 position의 이름을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자신의 이러 이러한 적성과 교육 배경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전공과 동일 분야 진출인 경우)에서 근무하고 싶다고 기술하면 됩니다.
예) To obtain an entry level position which will enable me to utilize m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 and field of study.
미국식 기재 방식은 최근 졸업한 학교부터 과거 순으로 기재하는 것이 원칙이나 한국식으로 과거부터 최근 순으로 기재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졸업 년도와 학교, 학위명을 기재하여 부전공과 졸업 평점이 채용의 큰 변수로 작용한다면 명기하도록 합니다.
예1) Mar.,2002 : Hangang Univ.,Taejon Major : Mechanical Drafting Degree : B.S.
예2) Hangang University, Suwon Currently pursuing Masters Degree in Education Hangang University, Suwon B.A.in English-Mar., 2003
예3) 졸업 예정자인 경우 candidate라는 표현 사용 Hangang University, Seoul Major : Business Administration B.A.Candidate in March 2004
영문 이력서를 요구하는 대다수 외국인 기업의 경우, 학벌이나 자격증 위주가 아니라(특수 분야 제외)적성 및 능력 위주로 직원을 채용하므로 경력 란은 resume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최근의 경력에서부터 역순으로 쓰되 근무 기간, 회사명 및 소재 도시, 직위, 직무 내용을 적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회사명이 아니라 실제 자신이 한 업무나 성과의 내용입니다. 기업은 이 부분을 토대로 "What can you do for me?"의 궁금증을 풀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업무 내용과 관계없는 경력은 간소화시키고 관계있는 경력을 부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1) Nanum Bakery, Taechi-dong, Seoul Cashier and baker(part-time, June 03-September 03)
예2) 7/02 - 9/02: Good Photo Studio, Seoul Held position of photo-developing technician and assistant manager.
예3) kildong Inc., Yokasm-dong,Seoul June 1999-present Job title : Secretary Duties : - Used numerous w.p. packages in secretarial capacity - Book keeping, ordering of supplies...
이 난은 조직력, 협동심, 지도력을 표현할 수 있는 공식적인 기재란입니다. 사회 초년생의 resume에는 경력란이 충분히 채워질 수 없으므로 재학 시절의 동아리 혹은 과외 활동을 통하여 발견한 자기 적성이나 재능이 전문적인 직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습니다.
예1) Mar., 2000 to Feb., 2001 Treasure of the Chung-Ang Accounting Society, Korea Univ.
병역란은 대부분 직장에서 병역필 혹은 면제를 취업의 필수 조건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꼭 밝혀두도록 합니다.
예1) Mar. 1, 1998. Enlisted in the ROK Army(or KATUSA,or Defence Corps)as a private(Service Number 13488816). Dec.2, 2000. Dischanged from service and placed on the reserve list
예2) Mar.3,1988 Exempted from miltary service and joined in second national militea.
학원이나 친지에게서 배운 기술은 있는데 실제로 활용한 실무 경력이 없는 경우 이 난에 간략히 적어 넣습니다. resume은 "What I did"(나는 이러저러한 일을 했었다)보다는 "What I can do for you: (내가 과거에 쌓은 이러 저러한 경력이 귀사에 도움이 된다)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예) Feb., 2001.Earned the second grade book-keep-ing given by th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교내 외 입상 경력을 기재하고, 상벌 사항이 없으면 'None'이라고 적습니다.
예) Mar.,2001.Awarded an excellence prize in the Nationwide College Student English Speech Contest by the Korea Herald.
추천인, 신원 보증인이 될 수 있는 교수, 친척, 선배 등을 기재하고, 성명, 직위, 직장, 전화번호를 명기합니다. 대개 2명의 추천인을 기재하는 것이 좋고 기재하기 전에 추천인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지원자는 수시로 자신의 근황을 꼭 추천인에게 알릴 책임이 있습니다. 아무 연락도 없다가 갑자기 채용자가 전화라도 하게 된다면 추천인은 당황하게 되어 지원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겠지요?
'위 내용이 사실과 틀림없음'이라는 표현은 I hereby certify the above statement to be true and correct in every detail. / I here declare that the above mentioned are correct and true to the best of my knowledge. / I hereby certify that the foregoing statements are true, correct and complete to the best of my knowledge. / I hereby declare upon my honor the above to be a correct statement. 식으로 기재합니다. 끝으로 I herby- 문장에서 3행정도 띈 좌측 편에 October 4, 2003식으로 작성 년 월 일을 적습니다. 그런 다음 자필로 서명하면 영문 이력서가 완성됩니다.
영문이력서(Resume) 작성법
□ Education (학력)
이력서에서 Education의 위치는 어떤 형식을 쓰느냐에 따라 달라지지만 Availability Data 바로 밑에 언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력자의 경우 경력 밑에 쓰기도 한다.
학력에는 졸업연도, 학교 및 학위명, 전공분야를 반드시 기재하며 부전공이나 졸업 평점이 도움이 된다면 기재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기업에서는 업무와 관련 있는 과목의 학업성취도와 직장 경력에 더 관심이 있으므로 여기에 지원 업무와 관련 있는 과목이나 교육 내용을 추가하는 것도 효과적이며, 해당 과목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면, 획득한 점수를 같이 기입하는 것도 좋다.
특별한 요구가 없는 한 최종학력만 적어도 무방하며 대학원 졸업인 경우는 대학 학력부터 적는 것이 좋으며, 졸업예정자라면 졸업 일을 기재하고 "Expected"라고 기재하면 된다.
학위를 받는 대학교 또는 대학의 위치가 알 만한 곳이라면 언급을 생략해도 좋으나 지방이나 해외 지역이라면 해당 국가, 도시, 지역을 언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우리나라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XX대학을 졸업했다."라는 단순 사실 기재보다는 "한국의 명문 대학으로 꼽히는 XX대학을 졸업했다." 식의 설명을 붙이는 것도 좋다.
Listing Coureswork (교육과정) 작성시,
교육과정(coursework)은 지원 업무와 관련 있는 것이어야 하며, 수료한 과목의 이름을 써넣을 때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과목의 이름이 애매한 경우에는 관련 사항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
Education : Feb '93 Graduate from ○○ Foreign Language School - Major in French Feb '98 - B.A. degree of French - Minor : Mass Media Communication
|
□ Work Experience (경력)
경력사항은 최근 것부터 작성하는 것이 좋다. 경력자라면 학력보다 경력을 먼저 작성하는 것이 좋으며 누구나 알아보기 쉽도록 전문용어나 약자 사용은 자제하도록 한다. 지원 분야 업무 경력에 대해서는 상세히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며, 지원직종과 관련이 없거나 플러스 요인이 되지 못하는 것은 생략한다.
학교(대학교 또는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한 일이라도 지원 업무에 가장 많은 관련이 있는 것은 언급한다. 아무리 사소한 일을 했더라도 이는 고용주에게 두 가지 사실을 말해줄 수 있다. 첫 번째, 이 지원자는 '현실 세계'를 경험했으므로 실질적인 경력을 가진 것이나 다름 없다. 두 번째, 이 지원자는 결단력과 책임감이 있다.
영업직 지원자라면 자신이 전 직장에서 올렸던 성과를 구체적인 숫자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연구개발(R&D)분야의 지원자는 이전 기업에서 어떤 프로젝트에 참가했는지 보여주는 '프로젝트 경력서'를 별도로 첨부하는 것이 좋다. 프로젝트 이름과 기간, 팀에서 자신의 역할과 담당 업무, 사용 기술의 정도까지 써넣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이전에 회사를 옮긴 적이 있다면 이유가 무엇인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
전임/ 시간제이든 어떤 형태의 경력을 쓰더라도 다음의 정보는 꼭 포함하도록 하자.
일을 한 시기 직업명
고용주 직 무
업무 실적
Dates of employment (일을 한 시기)
일을 한 시기는 정확한 날짜까지 작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일을 시작하고 끝낸 날짜를 전부 쓸 필요는 없다. 만을 다른 시기에 같은 종의 작업을 가졌다면, '1998, 1990' 또는 'Christmas and semester holidays, 1998, 1990'라고 쓸 수도 있다.
Job title (직업명)
어떤 직업의 경우에는 특정 타이틀이 없을 수도 있다. 만일 그런 직업을 가졌다면 그 업무를 잘 묘사할 수 있는 타이틀을 자체적으로 만들어내도 좋다. 예를 들어, 만을 패스트푸트 식당 카운터 일을 했다면, 'Shop Assistant'라는 타이틀을 써 줄 수도 있다. Job title에 밑줄을 그어 직업명을 부각시키는 것도 잊지 말기 바란다.
Name of employer (고용주명)
근무한 기업을 언급할 때는, 기업명과 소재지를 모두 언급하도록 한다. 지원기업에서 전화 조회 도는 고용사실 확인을 원할 경우, 그 작업을 훨씬 더 수월하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Responsibilities (업무)
경력에 대해서 단순히 자신이 맡았던 직책만 기술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구체적인 업무내용을 언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업무는 'Duties'가 아닌 'Responsibilities'이다. 이 타이틀의 목적은 해당지원자가 어떤 책임을 수행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각인 시켜 주기 위함이다. 모든 Responsibilities를 나열할 필요는 없으므로 가장 중요하다 여겨지는 것만 쓰면 된다.
Accomplishments (업무 실적)
업무 실적 언급으로 다른 지원자들과 차별화할 수 있다.
지원기업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실적이든 나열해도 좋다. 학교 재학시 수입이 있었거나 영업사원으로서 거둔 실적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이들을 감독하거나 후임교육을 언급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험은 지원할 기업체에 본인의 지도력을 보여주는 예가 될 수도 있다. 감독관 부재시 그의 업무를 대신했다면, 그 또한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아마도 고용주에게 인정된 사람이라는 사실을 시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기에 사소해 보이는 업적이라도 Resume를 읽는 사람에게 깊은 신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Maintained records for accounts receivable and accounts payable accounts managed over 1,000 accounts receivable and payable accounts working directly with the Chief financial Officer
|
Sales administration Jan '98 Feb '97 Work for ○○ Carrier Corporation Seoul - Involed in the team of Sales Administration - Responsible for Outside and Import!ation - Description : Reduction of Purchase cost through unit price contracts with companies : Reduction fo Import!ation cost through the presentation of compared price with competitors : Permission of Import!ation of full-sizedfreezers : Improvement of Task-process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of purchase management program |
영문 이력서 작성하기
"영문 이력서 잘 쓰는 요령을 알려주세요!" 취업 시즌의 단골 메뉴다. 사실 서류 심사 통과도 힘든 요즘, 자신의 영어 실력을 한껏 드러내 멋지게 작성한 영문 이력서는 취업에 상당히 유리한 무기일 것이다. 간단하면서도 실무자의 눈에 확 띄는 영문 이력서 작성 노하우를 하나하나 배워보기로 하자.
영문 이력서 작성이 어렵다고 말하는 이들의 대다수는 한글 이력서의 포맷을 고집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미국과 유럽에서는 자기 소개서라는 것이 존재하지도 않는다. 정중한 편지와 함께 이력서를 동봉해 인사 담당자에게 제출하는 게 정석으로, 앞서 언급한 정중한 편지가 Cover Letter이고, 이력서가 흔히 말하는 Resume이다.
구체적으로 Cover Letter라 함은 A letter sent with other documents to explain more fully or provide more information, 즉 이력서의 내용을 추가 설명해 보완할 수 있는 일종의 편지글이다. 따라서 보통 'Dear Ms. Gilbert,' 따위의 문장으로 시작되어야 하며, 응모 직종과 이력서를 제출하게 된 경위, 특기 사항 등이 들어가야 한다. 반면, Resume에는 경력, 기술, 특기 사항 등을 일련의 형식에 맞춰 기입해야 한다.
일단 Cover Letter의 형식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1. 영문 자기 소개서 작성하기
영문 소개서인 Cover Letter는 A4 용지나 미국 규격의 편지 용지를 사용하되, 분량이 1장 이상을 넘지 않도록 간결히 작성해야 한다. 또, 편지글 끝에 놓이는 단어가 하이픈(Hyphen)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끝줄을 정확히 맞추도록 해야 한다. 이를테면 행이 바뀌는 위치에서 'Stu-died'와 같이 표기되는 것을 삼가야 한다.
|
① HOWpc Kim ② September, 18 1999 ③ Jose Horton ④ Dear Ms. Jose Horton: ⑤ I am writing this to express my interest in a computer programmer position which is currently available with your company, as advertised in the Chosunilbo. My confidential resume is enclosed for your review and consideration, and I believe you will find me well qualified. Detailed on my resume you will find a solid background in Computer Programing, with over 11 years as computer programmer. In this capacity, I have developed an expertise in the areas of Hardware, O/S, Languages, System Software, Database and DG/SQL. I am confident that my experience in these areas will prove to be an asset to ABC Corporation. I will be happy to have the opportunity to discuss with you how I might make similar contributions to the success of ABC Corporation. I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to schedule a personal interview at your convenience. ⑥ Sincere regards, ⑦ Kildong Hong |
①Name & Address
이력서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주소를 미국식으로 기재한다. 다만 편지글 양식에 맞추어 2∼3줄 안에 들어가도록 균형을 잡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영어식 이름 표기법은 이름(First Name)을 먼저 적고, 성(Family Name)을 나중에 적으며, 이름을 적을 때 '-'를 사용하여 글자와 글자를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철수란 이름을 기입할 경우 'Chol-Soo'라고 기입한다.
②Date
주소 밑에 여백 줄 없이 기입한다. ①에서 기입한 이름과 주소에 맞춘 형식이 가장 좋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문어체로 날짜 표현을 썼지만, 구어체로 표현할 경우 'It is the fifth of October(10월 5일입니다).'라고 쓴다는 것을 기억해 두자.
③The inside address
보내는 날짜에서 두 줄 정도 띄어, 받는 회사명과 주소, 담당자의 성명과 직위를 쓴다. 이 때 담당자를 모를 경우 지망하는 회사로 전화를 걸어 확인하는 것은 실례가 아니지만, 인사 담당자 등 수신인이 정해져 있을 경우 겉봉에 쓴 수신인과 여기에 쓴 수신인이 일치해야 한다.
직책은, 부장이 the head(chief/director) of a department, 과장은 the chief[head] of a section 혹은 a section chief이며, 인사과 부장은 the chief of the personnel(affairs)이라고 표현한다.
④Salutation
보통 몸짓 인사를 Saluting 혹은 Greeting이라고 하는데, 편지글의 Salutation으로는 '∼에게'에 해당하는 Dear를 쓰고, 사람 이름을 기입한 후 콜론(:)을 붙여야 한다.
⑤Contents
이력서를 보내게 된 동기가 들어가야 한다. 요컨대, 구인 광고를 보게 된 계기와 함께 본인의 능력, 인터뷰 요청 문구를 쓰는 게 정석이다. 여기에서는 'I am writing this to express my interest in a computer programmer position∼'라는 문장을 통해 구인 광고를 보게 된 계기를 썼는데, 같은 의미로 'Your advertisement for a computer programmer position in 8/16's the Chosunilbo caught my attention.'도 가능하다. 단, 이력서에는 I나 Me, I seek, My objective와 같은 개인 위주의 단어는 되도록 피하고 회사의 입장에서 써야 하므로 후자가 좋을 수 있다.
한편, 경력과 자질은 'I am sure(나는 확신한다)∼'라는 문구로 시작해 'I'm sure that the requirements you are looking for exactly match my qualifications as follows(본인은 귀사가 원하는 자격 요건과 정확히 일치하는 다음과 같은 경력을 갖고 있습니다).' 같은 식으로 쓰면 된다. 이 때 이력서에 Requirement(자격, 필수 요건)와 Qualification(자질, 소질) 등의 단어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맨 마지막에는 인터뷰를 직접적으로 요청하는 'May I be given the opportunity of an interview?'라는 애교 섞인 표현이나, 'I am enthusiastic about the position and look forward to meeting with you.' 같은 표현을 덧붙인다. Enthusiastic은 '열심인, 열중하는'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전치사 About나 For와 함께 쓰이며, Look forward to는 '∼을 고대하다'라는 표현으로, To 뒤에는 반드시 동명사를 쓴다는 점에 유의하자.
⑥Complimentary closings
영문 편지의 끝인사는 'Sincerely yours,'처럼 콤마와 함께 정형화된 문구를 쓴다. 일반적인 표현으로는 Respectfully, Respectfully yours, Yours Sincerely, Yours truly, Very sincerely, Your very truly, Cordially, Very truly yours, Cordially yours 등이 있다. 외워두었다가 적재적소에 활용해 보자.
⑦Autograph
서명은 만년필로 하는 것이 좋으며, 검정색보다는 선명한 청색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눈에 잘 띄고 고상해 보인다. 참고로, 흔히들 서명을 Signature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 예능인의 사인을 받을 때에는 Signature가 아닌 'May I get your autograph?'라고 말해야 정중한 표현이다.
2. 영문 이력서 작성하기
본격적으로 이력서 작성법을 배워보자. 여기에 소개한 이력서는 정형화된 형식으로, 각 항목들을 맞추어 기입해야 훌륭한 영문 이력서가 된다. 본 이력서를 참고삼아 본인의 영문 이력서를 작성해 보자.
|
① HOWpc Kim
|
①Personal Identification
개인 정보(Personal Data)라고 불리는 이 난에는 성명과 함께 서류 심사에 통과할 경우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를 기입해야 한다. 간혹 여기에 개인 신상 명세서를 기재할 것을 요구하는 곳도 있는데, 이 경우 나이(Age)와 본적(Place of Birth 혹은 Permanent Address)을 기재하고, 현주소(Present Address)도 적는다. 아울러 결혼 관계(Marital Status)를 적는데, 기혼이면 Married, 미혼이면 Single이라고 하고, 성별(Sex)도 Male(남자) 혹은 Female(여자)로 쓴다.
②Objective
희망 직종은 Professional Objective 혹은 Job Objective로 쓸 수 있다. 이 이력서에는 부가적인 내용이 추가되어 있지만, 핵심은 A system or application development position(개발직)이다. 이 때 특정 분야를 먼저 쓰는 형태의 A position in developing Integration System도 가능하다. 단, Position 다음에는 전치사 In을 사용해 구체적인 작업 영역을 명시해야 한다.
③Education
학력(Educational Background)란은 졸업 학교와 연도, 학위명, 부전공과 졸업 평점을 적는 곳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이를테면 'Hankook University, 1991-1995'를 'Hankook UNI. Computer Engineering, from March 1991 to February 1995'와 같이 쓸 수도 있다. 또한, 전공(Major)과 부전공(Minor)을 적고, GPA(Grade-Point Average)는 총점 중 획득 점수를 분수로 표기한다.
한편, 학사는 Bachelor of Science 혹은 B.S로 적되, 전치사 In을 붙여 전공 분야를 적는다. B.S in Computer Engineering이 그 예이다. 반면, 엔지니어링 부문의 석사는 Master를 써서 문학 쪽은 M.A(Arts), 이학 쪽은 M.Sc(Science), 공학 쪽은 M.Eng(Engineering)라고 기입한다.
④Skills
보유한 기술을 적는 난으로, Computer Skills와 Language Skills를 구분해 간단하게 적는 게 좋다. 거의 명사형으로 쓰기 때문에 영문법을 알 필요는 없지만, 철자는 정확해야 한다.
⑤Achievement
대학에서 활동한 경력이나 아르바이트 경력을 구체적으로 적는다. 예를 들면, 'Contributed in HOWpc Corp's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by 16% in 1995 with planning & reporting process by using a Automation System(HOWpc 상사에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획과 보고를 체계화함으로써 1995년도에 16%의 성장을 이룩했다).' 하는 식이 좋다.
한편 Working prototype이란 '작업 모델'을 뜻하는 것이며, Ultimately란 '결국, 최종적으로'란 뜻의 부사로, 이처럼 단어 하나의 선택으로 작업을 최종 완성까지 마쳤는지 아닌지를 전달할 수 있다.
⑥References
'참고, 참조'란 뜻을 지닌 Reference는 여기서는 '추천서'를 가리킨다. 이력서인 경우 Available on request 또는 Furnished upon request라고 표현, 요구시 즉시 제출하겠다는 뜻을 밝혀두는 것이 적절하다. 보통 영문 이력서를 요청하는 국내 업체의 경우, 자신의 이력을 기입할 때 끝에 'I hereby declare that the above mentioned are correct and true in every detail.'이라는 문장을 적어 이력서의 정확성을 보증하기도 한다. Hereby란 선언문 따위에 자주 등장하는 '이에'라는 뜻이다.
⑦ETC
여기에 소개한 이력서에는 간결한 핵심만 담겨 있지만, 때때로 Awards(수상 경력), School Activities(활동 경력), Military Service(병역), Special Acquirement(자격증), Rewards & Punishments(Honors and Awards, 상벌 여부) 등을 요구하기도 한다. 특히 병역 여부는 민감한 부분으로, 현역 복무자는 제대 날짜를 정확히 밝혀주면 되고, 면제자는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라고 쓴다.
APPLICATION FORM
1. Personal Information
|
First Name |
|
Last Name |
|
Photo | ||||
|
Date of Birth |
|
Sex |
male( ) female( ) | |||||
|
Marital Status |
single( ) married( ) |
No. of Children |
| |||||
|
Height |
|
Weight |
|
Zip Code/ Address | ||||
|
| ||||||||
|
Tel. |
residence: business: | |||||||
|
Fax |
|
E-mail Address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2. Application Field (list area you apply to)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3. Education (list education and training details in reverse-chronological order)
|
Year (from-to) |
Major |
Degree |
Name of Institution |
Place (city, count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4. English Proficiency (Poor/a Little/Moderate/Well/Very well)
|
Language |
Reading |
Writing |
Speaking |
|
|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5. Certificate/License (list certificate or license received related to applying job)
|
Date of Issue |
Name |
No. of Certificate/License |
Issuing Institution |
|
|
|
|
|
|
|
|
|
|
|
|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6. Specific Technical Skill (state the specific technical skill related to your applying field)
|
|
|
|
|
|
|
|
|
|
|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7. Work Experience (list work experience details in reverse-chronological order)
|
Period |
|
|
Position |
|
|
Department |
|
|
Name of Company |
|
|
Location |
|
|
Responsibility : | |
|
| |
|
| |
|
| |
|
Accomplishments (achievements) : | |
|
| |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Work Experience (continued..)
|
Period |
|
|
Position |
|
|
Department |
|
|
Name of Company |
|
|
Location |
|
|
Responsibility : | |
|
| |
|
| |
|
| |
|
Accomplishments (achievements) : | |
|
| |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
Period |
|
|
Position |
|
|
Department |
|
|
Name of Company |
|
|
Location |
|
|
Responsibility : | |
|
| |
|
| |
|
| |
|
Accomplishments (achievements) : | |
|
| |
|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
DATE |
SIGNATURE |
|
문서서식포탈비즈폼 |
영문 이력서 샘플..
호주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면
영문이력서를 준비해야 한다.
그 샘플은 다음과 같다..
(- 호준사 네이버 까페에서 가져왔는데..이래도 되나..^^;; )
불펌이었다면 죄송합니다...내리라면 내리겠어요..^^;;;
|
▶ 영문 이력서 양식 | ||||||||||||||||||||||||||||||||||||||||||||||||||||||||||||||||||||||||||||||||||||||||||||||||||||||||||||||||||||||||||||||
|
| ||||||||||||||||||||||||||||||||||||||||||||||||||||||||||||||||||||||||||||||||||||||||||||||||||||||||||||||||||||||||||||||
▶ 회사 직책, 부서별 올바른 영문표기
|
'잡동사니 > 잡학,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간성 좋다’ 소문나면 연봉 떨어진다 (0) | 2011.08.19 |
|---|---|
| 식초의 놀라운 쓰임새 (0) | 2011.07.11 |
| 양방향 통역기를 겸한 어학 학습기 (0) | 2011.06.10 |
| 기제사에 관해서 여쭙겠습니다 (0) | 2011.06.09 |
| 각종 냄새 제거하는 방법 (0) | 2011.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