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경우는 1.6평방미터이다.
피부는 끊임없이 벗겨지고, 4주마다 완전히 새 피부로 바뀐다.
우리는 부모님이 물려주신 이 천연의 완전 방수 가죽옷을 한달에
한번씩 갈아입는 것이 된다. 한사람이 평생 동안 벗어버리는 피부의
무게는 48Kg정도로 1,000번정도를 새로 갈아입는다.
26. 우리의 키는 저녁때보다 아침때의 키가 0.8Cm정도 크다.
낮동안 우리가 서 있거나 앉아있을 때 척추에 있는 물렁한 디스크
뼈가 몸무게로 인해 납작해지기 때문이다. 밤에는 다시 늘어난다.
27. 우리의 발은 저녁 때에 가장 커진다.
하루 종일 걸어다니다 보면 모르는 새에 발이 붓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발을 사려거든 저녁 때에 사는 것이 좋다.
28. 소화란 강한 산성과 알칼리성 사이의 위태로운 평형 작용이라 할 수
있다. 위산은 아연을 녹여버릴 정도로 강하지만 위장에서 분비되는
알칼리성 분비물이 위벽이 녹지 않도록 막아준다. 그리고 위벽을
이루는 500,000개의 세포들이 매분마다 죽어서 새 세포들로
대치된다. 3일마다 위벽 전체가 새것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위산은 바이오 리듬에 의해 일정한 시간(대개 아침, 점심,
저녁때)에 분비되는데, 이 때에 식사를 하지 않으면 배가 고픈
것을 느끼게 되며 이것은 위벽이 상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29. 인간의 혈관을 한줄로 이으면 112,000Km로서 지구를 두번 반이나
감을 수 있다.
30. 콜레스테롤은 인간의 몸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콜레스테롤은 음식물안의 지방을 녹이는등 생리 작용에서 생화학적
으로 아주 중요하다.
콜레스테롤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간에 부담을 주고 혈관 속에
쌓여 급기야는 혈관을 막아서 사람을 죽게 하기도 하지만 우리
몸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31. 자동차를 만드는 데에 13,000개의 부품이, 747제트 여객기를
만드는 데에 3,000,000개의 부속품이, 우주왕복선을 만드는 데에는
5,000,000 개의 부속품을 필요로 하지만 우리 인간의 몸에는...
* 10.000.000.000.000 개의 세포 조직이 있고,
* 25,000,000,000,000개의 적혈구와
* 25,000,000,000개의 백혈구가 있다.
심장은 1분에 4.7리터의 피를 퍼내고,
혀에는 9,000개 이상의 미각세포가 있다.
이 얼마나 정교한 기계인가?
32. 인간의 뇌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가끔 머리가 아픈 것은 뇌를 싸고 있는 근육에서 오는 것이다.
33. 인간은 위와 비장(脾臟=지라)의 50%, 간의 70%, 내장의 80%,
한 개의 폐를 떼어내도 살 수 있다.
34. 인간의 눈은 이상 조건에서 100,000가지의 색을 구분할 수 있지만
보통은 150 가지를 구별해 낸다.
35. 남자의 몸은 60%가, 여자의 몸은 54%가 물로 되었기 때문에
대개 여자가 남자보다 술에 빨리 취한다.
36. 아이들은 깨어 있을 때보다 잘 때 더 많이 자란다.
37. 지문이 같을 가능성은 64.000.000.000(640억) 대 1 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 사람들의 지문은 모두 다르다.
38. 갓 태어난 아기를 아무도 만져주지 않으면 성장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때로는 죽기도한다. 그래서 요즘 병원에서는 시간을
나누어서 교대로 간호사들이 갓 태어난 아기를 안아준다.
39. 개미는 자기 몸보다 50배나 무거운 것을 들 수 있고,
벌은 자기보다 300 배 더 큰 것을 운반할 수 있는데,
인간으로 보면 10톤짜리 트레일러를 끌어야 한다.
40. 보통 성인의 맥박은 70-80번인데, 조그마한 새의 심장은 1,000번이
넘게 뛴다.
41. 단어 한 개를 말하는데 650개의 근육중 72개가 움직여야 한다.
42. 남자는 모든 것의 무게가 여자보다 많이 나가지만 단 하나,
예외가 있는데 여자가 지방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이것이 여자를 아름답게 만든다.
'건강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주명 박사 전립선암 연구에 획기적인 성과를 냈다 (0) | 2009.06.29 |
---|---|
심근경색에 무릎을 꿇은 팝의 황제 (0) | 2009.06.26 |
건망증 막는 6가지 방법 (0) | 2009.06.20 |
나는 무엇을 할수있는 나이 인가 (0) | 2009.06.17 |
우리나라 소문 난 의사들 (名 醫 ) (0) | 200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