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잡학,기타

Less Family Members, Less Happiness

오용진 2013. 7. 25. 10:58

 

Less Family Members, Less Happiness

더 낮은 가족 수, 더 낮은 행복감

The number of mini-households composed of a wife and a husband or a person who lives alone, has been rapidly growing in Korea.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ini-households in Seoul have accounted for 46.8 percent of the population, single-member households 24 percent and two-member households 22.8 percent. This is a 4.4 percent increase from 2005's statistics.

부인과 남편 혹은 혼자 사는 사람으로 구성된 미니가구의 수가 한국에서 급속도로 증가했다. 서울특별시가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서울에 있는 미니가구의 수가 인구의 46.8퍼센트를 차지했고 싱글 가구 24퍼센트 그리고 2인 가구가 22.8퍼센트를 차지했다. 이것은 2005년의 통계에서 4.4퍼센트 늘어난 것이다.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 increase in mini-households. Women consider less need to be dependent upon men for support so refuse to get married. Men delay marriage because they are financially unstable and for couples, they hesitate to have a child because too much money is spent on raising a child.

미니가구의 증가에 대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여자는 경제적 지원을 위해 남자에게 의지 할 필요가 없다고 여겨 결혼 하기를 거부한다. 남자들은 경제적으로 안정적이지 않아 결혼을 미루고 부부들은 아이를 키우는 데 너무 많은 돈이 사용 되기 때문에 아이를 갖는 것을 망설인다.
Households under two or less members acquire less happiness compared to households with more than three people.

가족인원 2인이나 2인미만 가구는 3인 이상 가구에 비해 더 낮음 행복감을 얻는다.
The statistics showed the average of single-member households' awareness of happiness marked 64.5, two-member households marked 66.7 while three or more member households marked 68.6 out of 100. Even though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it seems as though the less people in a household, the less happiness there is. 통계는 3인 이상의 가구의 행복감에 대한 인식이 100점에서 68.6을 기록할 때 싱글 가구들은 64.5, 2인 가구는 66.7을 보여주었다. 큰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한 가구에 있는 인원수가 적을수록 더 행복감이 낮다고 보여진다.
The level of happiness depends on one's satisfaction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can depend on one's sociability.

행복감의 수준은 사람의 삶의 만족도에 달려있고, 삶의 만족도는 사람의 사회성에 달려있다.
Society is a place where different people live together. To live in a society, people need to engage and form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When a person feels that they are treated unfairly or considers themselves in a lower class in a society, they are likely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lives.

사회는 다른 사람들이 함께 사는 곳이다. 사회에서 살아가려면 사람들은 엮여야 하고 서로 관계를 형성 해야 한다. 사람이 부당하게 취급 받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사회에서 하위계층에 있다고 생각하면 그들은 그들의 삶에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Also, money is great importance in peoples' lives. Many Seoul citizens perceive themselves as middle-low class stating, a major reason which induces social distinction between people is with the income level.

또한, 돈은 사람들의 삶에 굉장히 중요하다. 많은 서울 시민들은 사람들 사이에서 사회적 차별성을 유발하는 큰 이유 중 하나는 소득수준이라고 말하며 그들이 중하위층이라고 받아 들이고 있다.
In the long-term, the small family trend may be harmful to society. If this continues, people may become isolated from the rest of the world.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작은 가정은 사회에 해로울 수도 있다. 만약 이것이 계속된다면 사람들은 세상으로부터 고립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