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액형 심리학이 허무맹랑한 까닭? |
가뭄 때문에 농민의 마음도 논바닥처럼 바싹 바싹 타고 있습니다. 피가 마르는 느낌일 겁니다. 정말 인체에서 피가 마르면 어떻게 될까요? 피는 몸 구석구석의 세포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기 때문에 세포들이 몰사하게 됩니다. ‘인체의 강물’ 피는 지구 둘레(약 4만㎞)의 3배 정도인 혈관을 돌면서 세포들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합니다. 혈관세포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도 있는데 ‘혈관의 혈관(Vessel of Vessel)’이라고 부른답니다. 1868년 오늘은 이 소중한 피도 종류가 있어서 함부로 수혈하면 안 된다는 것을 밝힌 ‘혈액형의 아버지’ 카를 란트슈타이너 박사가 태어난 날입니다. 란트슈타이너는 1901년 어떤 피는 섞으면 곧 굳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ABO형 혈액형 이론을 세웠습니다. 이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그는 RH 인자도 발견했습니다. 이런 성과에 따라 안전한 수술이 가능해졌고 의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혈액형이 이상한 곳에 쓰이고 있습니다. 남녀가 처음 만나면 혈액형부터 묻습니다. 혈액형에 따라 자기 장래의 꿈도 결정한다고 합니다. ‘혈액형 성격론’ 때문이지요. 이것은 전형적인 ‘일본 상품’입니다. 1971년 일본의 방송작가 노미 마사히코의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미신을 좋아하는 일본인 사이에 급속도로 번져갔습니다. 몇 차례 부침을 겪다가 21세기 들어 다시 폭발적으로 유행했지요. 혈액형에 따라 짝을 연결해주는 회사가 등장했고 취업 면접 때 혈액형을 묻는 것이 ‘필수 코스’가 됐습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 여자 소프트볼 종목에서 혈액형 별 훈련을 시킨 것이 화제가 됐습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수입된 것이지요. 그러나 과학적으로는 허무맹랑할 따름입니다. 사람의 혈액형은 ABO형만 있지 않습니다. 혈액형은 혈액의 표시장치인 항원에 따라 결정되는데, 사람의 혈액을 나누는 방법은 ABO형 외에 MNSs형, Lewis형, Duffy형, Kidd형 등 20 여 가지이고 이에 따른 혈액형은 500가지 나 됩니다. 개, 소, 돼지, 양과 같은 동물도 혈액형이 있는데 개는 13가지입니다. 사람이 혈액형에 따라 성격이 다르다면 개는 성격이 13가지인가요?
그렇다면 왜 사람들이 이런 미신에 빠지는 것일까요? 우선, 이 이론이 단순명쾌하기 때문이겠지요. 사람이 겉을 통해 속을 보는 것을 ‘겉볼안’이라고 하는데, 겉볼안은 수양과 경험이 쌓여야 가능합니다. 그런 것 없이 혈액형만 알면 사람을 평가할 수 있다는데 솔깃해지는 것이지요. 또 대부분의 사람의 정신은 혈액형 심리학이 규정한 각 혈액형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A형의 소심함, B형의 이기적 성향, O형의 고집, AB형의 예측불가성은 모든 사람이 갖고 있는 정신의 파편이지요. 이를 자신의 성격으로 묘사하면 사람들은 ‘아하’하고 믿는 경향이 있는데 심리학에서는 이를 ‘바넘 효과’라고 부릅니다. 혈액형 심리학에 맹목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수양과 공부를 통해 겉볼안을 키우는 것이 삶에 훨씬 도움이 되겠지요? 과학적 논리를 키우는 것도 마찬가지이고요. 그러나 그것은 어렵습니다, 참 어렵습니다. 그렇지 않은가요? |
|
'잡동사니 >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유대인을 바로알면 세계의 미래가 보인다 (0) | 2012.12.29 |
|---|---|
| 뇌 건강을 위한 생활습관 (0) | 2012.10.05 |
| 각국의 언어, 지리, 인종, 여행및 정보 (0) | 2011.03.15 |
| 집 밥을 먹어야 하는 이유 (0) | 2010.11.11 |
| 잘못된 영어작문/표현들 (0) | 2010.11.10 |
가뭄 때문에 농민의 마음도 논바닥처럼 바싹 바싹 타고 있습니다. 피가 마르는 느낌일 겁니다.